KCMI 자본시장연구원
ENG

연구원 소개

조직 및 연구위원

프로필

전화
02-3771-0625
이메일
hcjung@kcmi.re.kr
학력
Boston University, 경제학 박사, 2023
연세대학교, 경제학 석사 수료, 2017
연세대학교, 컴퓨터과학/경제학 학사, 2015
경력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2023. 7 ~
Boston University, Teaching/Research Assistant, 2018. 9 ~ 2023. 5

보고서

오피니언

국내 인구구조 변화와 가계의 자산보유 및 자본시장 참여 / 2024. 12. 16
국내 인구의 연령구조와 세대구조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구구조 변화는 가계 부문의 자산수요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본고에서는 가계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내 가계의 자산보유와 자본시장 참여에 대한 가구주 연령대별 및 세대별 패턴을 분리하여 분석하였다.자산보유의 세대별 차이를 분리한 후 연령대별 패턴을 분석한 결과, 총자산, 순자산, 부동산, 금융자산은 고령층에서의 소진 규모가 완만한 반면, 자본시장자산 보유액은 고령층에서 연령 증가에 따라 빠르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계의 자본시장 참여율은 30대 초반을 기점으로 연령 증가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산보유의 연령대별 차이를 분리한 세대별 패턴을 분석한 결과, 자본시장자산 보유액에 대해서는 세대 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자본시장 참여율의 경우 최근 세대일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만약 이러한 연령별 및 세대별 패턴이 향후에도 지속된다면, 인구 고령화는 가계 부문의 자본시장자산 수요를 감소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며, 세대구조의 변화로 인해 자본시장 참여 가구 비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향후 국내 자본시장의 수요 기반을 유지하고 투자자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최근 세대의 자본시장 참여를 촉진하고, 중장년층과 고령층의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국내 통화정책 불확실성의 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 2024. 06. 10
국내 통화긴축 기조가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물가안정목표를 장기간 상회하고 있는 물가상승률, 최근의 성장세 개선, 물가 전망의 상방 리스크 확대, 미 연준의 금리인하 시기에 대한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국내 통화정책 향방에 대한 불확실성 및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실증분석 결과, 국내 통화정책 불확실성의 확대는 생산 감소, 기업들의 자금조달비용 증가 및 주가지수 하락을 유발하는 등 국내 실물경제와 자본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원화 가치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 경기안정과 금융안정의 제고를 위해 통화정책 불확실성의 수준과 변동을 축소시키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한국은행의 조건부 포워드 가이던스는 통화정책 불확실성 축소에 유효한 정책수단이 될 수 있음과 동시에 향후 부작용의 가능성이 공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통화당국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세미나 발표자료

연구용역

- M&A를 통한 중소기업 경영승계 활성화 방안 (2024, 중소벤처기업부, 박용린·황현영 공저)
- 벤처투자 활성화를 위한 신기술사업금융업 제도 개선 방안 (2024, 금융위원회, 박용린 공저)
- P-CBO 발행구조 개선방안 (2024, 기술보증기금, 김필규 공저)

기타활동

수상내역
- 자본시장연구원 최우수 보고서,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