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MI 자본시장연구원
ENG

연구원 소개

조직 및 연구위원

프로필

전화
02-3771-0663
이메일
jckim@kcmi.re.kr
학력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경제학 박사(1995)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경제학 석사(1994)
경희대학교 경제학사(1989)
경력
국민건강보험공단 자산운용위원회 (현, 2024-)
고용노동부 고용산재보험기금 성과평가위원회 (현, 2024-)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시장진흥기금 기금운용위원회 (현, 2024-)
대한지방행정공제회 경영자문위원회 (현, 2019-)
한국예탁결제원 자산운용인프라 자문위원회 (현, 2021-)
농림수산업자신용보증기금 자산운용위원회 (현, 2017-)
우정사업본부 우체국예금자금운용 분과위원회 (전, 2016-2024)
중소기업중앙회 대체투자위원회 (전, 2019-2023)
국민건강보험공단 자금운용성과평가위원회 (전, 2017-2023)
조달청 조달행정발전위원회 (전, 2017-2023)
공무원연금기금 위험관리위원회 (전, 2016-2020)
건설근로자공제회 투자심의위원회 (전, 2015-2021)
고용노동부 임금채권보장기금 위험관리위원회 (전, 2014-2020)
근로복지공단 근로복지진흥기금 성과평가위원회 (전, 2013-2021)
중소기업청 소상공인시장진흥기금 자산운용위원회 (전, 2015-2019)
보건복지부 국민연금기금 의결권행사전문위원회 (전, 2016-2018)
국토교통부 주택도시기금 자산운용위원회 (전, 2014-2018)
기획재정부 복권기금 자산운용위원회 (전, 2013-2017)
한국투자신탁운용 사외이사 겸 감사위원장 (전, 2011-2016)
공무원연금기금 성과평가위원회 (전, 2012-2014)
한국보건사회연구원/동아일보 100인 복지포럼 (전, 2011-2014)
한국예탁결제원 자산운용인프라발전 자문위원회 (전, 2009-2014)
금융감독원 금융투자업인가 외부평가위원회 (전, 2008-2014)
보건복지부 국민연금기금 성과평가보상 전문위원회 (전, 2010-2012)
기획재정부 기금평가단 (전, 2006-2010, 2012)
전력산업기반기금 자산운용위원회 (전, 2008-2009)
자산운용협회 간접투자상품 상품심의위원회 (전, 2007-2008)
보건복지부 국민연금기금 기금운용평가단 (전, 2007-2008)
자산운용협회 간접투자상품 광고심의위원회 (전, 2004-2006)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현, 2003- : 펀드연금실장(현), 연구조정실장, 거시금융실장, 금융안정센터장, 동향실장)
삼성금융연구소 수석연구원 (전, 2002-2003)
포스코경영연구소 연구위원 (전, 1999-2002)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전, 1995-1999)

보고서

오피니언

글로벌 자산운용사의 디지털 플랫폼 비즈니스와 시사점 / 2024. 10. 21
글로벌 초대형 자산운용사들의 온라인 디지털 플랫폼은 자산관리와 연계된 대부분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금융투자상품의 중개 기능도 수행한다. 여기에 더해 자산운용업의 핵심업무인 운용과 리스크관리, 기타 후선업무를 하나의 플랫폼 내에서 제공하는 등 과거 전문 금융 솔루션 기업의 영역까지 진출하고 있다. 오늘날 피델리티 및 블랙록과 같은 회사가 운영하는 디지털 자산운용 플랫폼은 넓게는 대형 금융회사들까지 고객군으로 포섭한다. 그러나 국내 자산운용회사들의 온라인 플랫폼은 아직 걸음마도 떼지 못했다. 규모의 영세성을 고려해 볼 때 국내 자산운용사들이 글로벌 대형 자산운용사들처럼 대규모 디지털 플랫폼을 추구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일부 대형 자산운용사들이라도 완전 개방형 판매 플랫폼 구축, 광의의 자산관리 플랫폼 구축 등을 통해 펀드의 판매 촉진 및 사업 외연 확대를 진지하게 고민해 볼 시점이다.
세제혜택계좌 가입률 제고를 위한 과제 / 2024. 01. 15
많은 국가들이 임의가입 세제혜택계좌를 운영하는 이유는 공적연금체계의 한계로 인해 개인들의 자발적인 퇴직자산 축적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1994년에 도입된 이후 여러차례 변화의 과정을 거친 연금저축계좌를 필두로 IRP, ISA 등의 세제혜택계좌가 운영되고 있다. 최근 10년간 적립액이 크게 늘어나는 등 세제혜택계좌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가입률은 높지 않은 편이다. 세제혜택계좌의 중요성을 감안해 볼 때 가입률 제고를 위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가입률 제고를 위해서는 부족한 세제혜택 수준의 상향조정이 요구된다. 2014년부터 연금저축계좌 및 IRP 등 연금계좌에 적용되는 세제혜택을 세액공제 방식으로 전환했는데, 이는 기대와 달리 모든 소득계층의 가입률을 떨어뜨린 요인으로 지적된다. 따라서 연금계좌의 경우 소득공제 방식으로의 재전환을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저소득층의 가입률 제고를 위해서는 본인 기여금에 대해 정부가 일정 금액을 직접 맷칭 기여해 주는 방식이 효율적일 것으로 보인다. ISA와 달리 20대 연령층의 연금계좌 가입률은 높지 않은 편이다. 젊은 세대의 연금계좌 가입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편입가능 금융자산의 범위를 넓힘과 동시에 중도인출 제약의 일부 완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함께 세제혜택계좌의 장기 계획성 저축 성격에 맞도록 금융회사들이 개인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공모펀드시장 경쟁력 제고를 위한 과제 / 2023. 07. 10
액티브 주식형펀드의 경쟁력 부족과 우수한 대체투자펀드의 부재가 침체된 공모펀드시장 문제의 핵심이다. 개인투자자들이 주식형ETF를 중심으로 한 패시브 운용을 선호하고 있지만, 위험-수익구조의 다양성, 시장환경 변화에 대한 유연한 대처 등 액티브 운용의 장점이 분명히 존재한다. 액티브 운용은 상품 및 운용전략 설계능력 배가 등 자산운용사의 장기적인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도 중요하다. 따라서 액티브 공모주식형펀드의 안정적인 운용성과 달성을 위한 자산운용사들의 적극적인 노력과 투자가 절실하다. 공모펀드 거래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수익증권상장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양질의 대체투자펀드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으면, 펀드자산군 다변화를 추구하는 개인투자자들의 안정적 자산운용을 기대하기 어렵다. 자산운용사들이 공모펀드시장에서 대체투자펀드를 적극적으로 설계하고 공급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유인체계를 검토해야 할 것이다. 또한 공모대체투자펀드에 기관투자자들의 투자를 유도해 펀드 규모를 키우고, 자산운용사들도 자기자본 투자를 늘려 펀드 경쟁력 확보에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
팬데믹 이후 우리나라 가계의 초과저축: 현황과 시사점 / 2021. 12. 06
팬데믹 이후 소비가 줄고 재난지원금 등 이전소득이 늘면서 전세계적으로 가계 부문의 초과저축이 많이 쌓였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평균적인 수준의 저축 대비 더 많이 축적된 초과저축이 2020년 1분기∼2021년 3분기까지 가구당 평균 310만원 내외로 추정되었다. 이를 가계 전체의 초과저축액으로 환산하면 2020년 명목 GDP의 3.5%인 약 67조원 수준이다. 가계의 특성과 상관없이 대부분의 가계 그룹에서 초과저축이 축적되었는데, 특히 소득의 수준과 안정성이 높은 가계 그룹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초과저축을 쌓았다. 이 가계 그룹의 초과저축 축적은 지출 감소에 지대한 영향을 받았다. 반면, 소득의 수준과 안정성이 떨어지는 가계 그룹의 초과저축 축적은 이전소득의 증가에 주로 기인한다. 팬데믹 이후 축적된 가계의 초과저축은 주로 주식 및 펀드 등 자본시장에 투자되고 있다. 초과저축을 많이 보유한 가계의 특성을 고려해 볼 때 향후에도 축적된 초과저축의 상당액은 자본시장에 남아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자본시장으로 돌아온 이들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수익률, 다양한 상품, 시장에 대한 신뢰 등이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세미나 발표자료

연구용역

- 건전한 투자일임 및 신탁업 활성화 방안(2016), 금융위원회 
- 금융중심지 정책 재정립에 대한 연구(2016), 금융위원회 
- 아시아펀드패스포트가 국내 자산운용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2015), 금융위원회/기획재정부 
- 공모펀드 규제체계 개선 방안 연구(2014), 금융위원회 
- 100세 시대 금융의 역할: 세제혜택 금융상품의 역할을 중심으로(2011), 금융투자협회 
- 저출산/고령화 대비 자본시장 활용 방안(2010), 금융위원회 
- 금융투자업의 안정적 인적자본 구축(2010), 금융투자협회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 자본시장 정책 방향(2009), 금융위원회 
- 자본시장 경쟁력 강화 방안(2009),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 펀드 관련 규율체계 정비 필요성 및 방향(2008),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 금융허브 구축을 위한 자산운용시장 발전 방안(2007), 한국투자공사/재경부 

기타활동

(1) 논문
- 김재칠/배근호, 「국가간 가계 주식보유 비중 결정 요인에 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0(1-B), 2008.2, pp. 337-346. 
- 배근호/김재칠, 「국내 자본통제의 내생성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7(5), 2005.10, pp.1775-1784. 
- 고광수/김근수/김재칠, 「인구고령화와 우리나라의 자본시장 : 가계의 주식보유와 3층 사회보장제도를 중심으로」, 금융연구 제19권 별책, 한국금융연구원, 2005.8, pp.61-128. 
- 김재칠/배근호, 「한국의 통화 중립성에 대한 실증 분석」, 경제연구 제23권 제1호, 2005.3, pp.23-45. 
- Jaechil Kim, Shawn Ni and Ronald A. Ratti, Monetary Policy and Asymmetric Response in Default Risk, Economics Letters 60, July 1998, 83-90. (SSCI) 
- Jaechil Kim, Shawn Ni and Ronald A. Ratti, Monetary Policy and Asymmetric Response in Default Risk, University of Missouri at Columbia, Working Paper(WP 97-04), May 1997. 
- Jaechil Kim and Ronald A. Ratti, A Note on Monetary Policy and Credit Conditions : The Role of Finance Companies in the Composition of External Finance, Manuscript, University of Missouri at Columbia, July 1995. 
- Jaechil Kim, “The Credit Channel of Monetary Policy and the Effects of Inflation Uncertainty on Investment,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 at Columbia, May 1995. 



(2) 보고서
- 미국 경제 및 인플레이션의 향방과 연준의 대응(2021.10), 자본시장연구원, 이슈보고서
- 가계부채 문제의 연착륙을 위한 정책과제(2017.8), 자본시장연구원(공저), 이슈보고서 
- 미국의 통화정책 변화(II): 한미 금리 동조화 및 역전 지속 여부 진단(2017.5), 자본시장연구원(공저), 이슈보고서 
- 미국의 통화정책 변화(I): 방향성 진단 및 전망(2017.4), 자본시장연구원(공저), 이슈보고서 
- 자산운용시장 고객군의 기관화에 따른 영향과 시사점(2016.12), 자본시장연구원(공저) 연구보고서 
- 자산운용산업의 국제화: 방향과 과제(2016.2), 자본시장연구원(공저) 연구총서 
- 비과세 종합저축투자계좌 도입에 관한 연구(2015.3), 자본시장연구원(공저) 연구보고서 
- 가계의 주식 및 펀드시장 참여에 대한 연구(2014.12), 자본시장연구원(공저) 연구보고서 
- 연금사회와 자산운용산업의 미래: 2020 자산운용산업 비전과 전망(2013.12), 자본시장연구원(공저) 연구보고서 
- 인구고령화와 우리나라의 자본시장 2: 퇴직연금과 자본시장 성장의 선순환(2013.12), 자본시장연구원(공저) 연구보고서 
- 자산운용업의 경영현황 분석과 자생력 확보 방향(2013.8), 자본시장연구원(공저) 조사보고서 
- 한국형 헤지펀드의 미래와 영향(2011.12), 자본시장연구원(공저) 이슈정책 
- 글로벌 자산운용시장의 변화와 국내 자산운용업계의 대응(2011.4), 자본시장연구원(공저) 이슈정책 
- 주요국 자산운용시장 발전모델 검토 및 시사점(2011.3), 자본시장연구원(공저) 이슈정책 
- 국내 자산운용시장 경쟁구조에 대한 연구: 판매시장의 가격규율을 중심으로(2010.7), 자본시장연구원(공저) 연구보고서 
- 펀드 규율체계의 바람직한 통합 방향(2009.8), 자본시장연구원(공저) 연구보고서 
- 인구 고령화와 우리나라의 자본시장1: 가계의 주식보유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2006.7), 한국증권연구원(공저) 연구보고서 
- 국내 주식시장의 버블 가능성 평가(2006.4), 한국증권연구원(공저) 연구보고서 
- 가계의 주식보유 비중 결정 요인에 대한 연구 : OECD 국가간 비교를 중심으로(2005.3), 한국증권연구원 연구보고서 
- 외국인 주식보유비중의 증대를 둘러싼 논의에 대한 검토(2004.6), 한국증권연구원(공저) 이슈페이퍼 
- 자금조달시장의 신용경색 판단지표 추정(2004.1), 삼성금융연구소(공저) 
- 초과유동성이 자산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2003.10), 삼성금융연구소(공저) 
- 국내 여전사의 자산유동화증권 발행 현황 및 문제점(2003.3), 삼성금융연구소(공저) 
- 유동성효과 검증을 통한 통화지표별 유용성분석(2003.1), 삼성금융연구소 
- 포스리 거시예측모형(2000), 포스코경영연구소(공저) 
- 금융 위험 증대에 따른 기업의 안정적 자금 관리(1998), 현대경제연구원(공저) 
- 자산담보부증권(ABS) 시장의 이해와 활용 방안(1998), 현대경제연구원(공저) 
- SOC 민자유치사업을 위한 프로젝트 금융 방법 연구(1997), 현대경제연구원(공저) 
- 적정 환율과 환율 변동의 산업별 영향(1996), 현대경제연구원(공저) 



(3) 자본시장연구원((구) 한국증권연구원 포함) 원내 정기간행물 기고
[논고]
- 팬데믹 이후 우리나라 가계의 초과저축: 현황과 시사점, 자본시장포커스 오피니언, 2021.12
- 미국 경제의 시중 유동성 현황 평가와 위험 요인, 자본시장포커스 오피니언, 2021.5 
- 자영업가구의 부채 구조 분석 및 시사점, 자본시장포커스 오피니언, 2017. 8 
- 가계소비의 동향과 구조적 정체 가능성, 자본시장포커스 오피니언, 2017.4 
- 글로벌 아웃소싱CIO(OCIO) 시장의 부상과 시사점, 자본시장위클리 오피니언, 2016.7 
- 공모펀드 성과연동 운용보수 허용 논의에 대한 소고, 자본시장위클리 오피니언, 2016.1 
- 운용보수율의 하락과 자산운용업계의 과제, 자본시장위클리 오피니언, 2015.8 
- 한국형 ISA의 필요성과 바람직한 도입 방향, 자본시장위클리 오피니언, 2015.2 
- 공모펀드시장의 침체 배경과 재도약을 위한 과제, 자본시장위클리 오피니언, 2014.7 
- 자산운용사 해외진출의 필요성과 방향, 자본시장위클리 오피니언, 2013.10 
- 펀드 판매시장의 공정한 경쟁구조 정착, 자본시장위클리 오피니언, 2013.5 
- 학자금펀드 도입 필요성과 방향, 자본시장위클리 오피니언, 2011.10 
- 소규모 펀드의 문제점 및 개선 필요성, 자본시장위클리 오피니언, 2011.6 
- 헤지펀드 국내 도입 방향과 기대 효과, 자본시장위클리 오피니언, 2011.4 
- 글로벌 자산운용시장의 변화와 시사점, 자본시장위클리 오피니언, 2010.11 
- 금융위기 이후 국제적 연기금의 자산운용 방향 변화와 시사점, 자본시장위클리 오피니언, 2010.7 
- 펀드 규율체계 통합의 필요성 및 방향, 자본시장위클리 오피니언, 2010.3 
- 펀드 판매보수 및 수수료 체계의 장기적 개편 방향, 자본시장위클리 오피니언, 2009.11 
- MMF와 금융시스템, 그리고 미국의 MMF 규제개혁, 자본시장위클리 오피니언, 2009.6 
- 펀드런 논란 1년에 대한 단상, 자본시장위클리 오피니언, 2009.3 
- 금융위기 이후 자산운용시장 육성 전략, 자본시장위클리 오피니언, 2008.11 
- 퇴직연금의 자산운용규제에 대한 일고, 자본시장위클리 오피니언, 2008.7 
- 자산운용시장의 보수문제와 경쟁규율: 미국의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자본시장위클리 오피니언, 2008.3 
- 퇴직연금과 우리나라 자본시장에 대한 소고, 자본시장위클리 오피니언, 2007.12 
- 국제 국부펀드의 부상과 시사점, 자본시장위클리 오피니언, 2007.10 

[이슈분석] 
- OECD 주요국 가계부채 현황 분석 및 시사점, 국제자본시장리뷰 이슈분석, 2016.7 
- 영국개인저축계좌(ISA) 현황과 시사점, (구)유럽금융시장포커스, 2013 
- 퇴직연금의 자본시장 발전 촉진을 위한 전제조건, (구)자본시장 퍼스펙티브, 2013 
- 중국 자산관리시장의 미래, 투자자의 특징 및 시사점, 중국금융시장포커스, 2011.7 
- 우리나라 자산운용시장 발전모델 정립 방향, (구)자본시장 퍼스펙티브, 2010 
- 자산운용산업의 경쟁도 분석 및 과제, (구)자본시장 퍼스펙티브, 2009 
- 미국의 기업 퇴직연금제도 운영사례와 시사점, (구) 자본시장포럼, 2007.9 
- 퇴직연금 중장기 전망 및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 (구) 자본시장포럼, 2006.9 
- 고령화와 가계의 주식보유, (구) 자본시장포럼, 2005.9 
- 자본시장과 가계 금융자산의 구성, (구)자본시장포럼, 2005.6 
- 가계 주식보유의 국제비교와 시사점, (구)자본시장포럼, 2005.3 
- 미국 금리정책 기조 변화가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구)자본시장포럼, 2004.9 
- 미국사례를 통해 본 가계신용붐 붕괴의 문제점과 시사점, (구)자본시장포럼, 2004.6 



(4) 자본시장연구원((구) 한국증권연구원 포함) 정기 간행물/단행본 편집간사
- (월간) (구) 펀드리뷰 (2003-2011) 
- (주간) 자본시장위클리(2008-2010) 
- (계간) (구)자본시장 퍼스펙티브(2009-2010) 
- (계간) (구) 자본시장포럼(2005-2008) 
- (단행본) KCMI 오피니언 시리즈 
              01 글로벌 금융위기와 자본시장 
              02 금융위기 이후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화 모습 
              03 선진 자본시장 모색을 위한 제언 



(5) 세미나 발표
- 자산운용산업 국제화의 필요성과 방향(2015.10), 자본시장연구원 정책세미나 
- 자산운용회사 해외시장 진출 활성화를 위한 과제(2015.10), 국회 정책세미나 
- 자산운용업 해외진출 필요성과 방향(2015.5) 증권학회 증권사랑방 정책세미나 
- 한국형 ISA(IWA) 도입 필요성과 방향(2015.3), 자본시장연구원 정책세미나 
- 자산운용업 NCR 제도 개선 필요성 및 방향(2014.10), 자본시장연구원 정책세미나 
- Corporate Pension Plans in Korea(2013.11), OECD/IOPS 연차포럼 세미나 
- 자산운용사 해외진출 확대 방안(2013.9), 금융위원회 주최 금융위원장-자산운용사 사장단 간담회 
- 자산운용업 경영현황 분석과 자생력 확보 방향(2013.6), 금융투자협회 주최 자산운용사 사장단 초청 세미나 
- 저금리시대 자산운용 전략: 글로벌 자산운용 환경변화와 시사점(2013.3), 연합인포맥스 주최 세미나 
- 학자금펀드 도입 필요성과 방향(2011.11), 국회주최 공청회 
- 한국형 헤지펀드 도입방향(2011.5), 금융위원회 출입기자단 초정 세미나 
- 저출산/고령화 대비 자본시장 활용 방안(2011.1), 금융발전심의회 주최 세미나 
- 2011년 자본시장 전망과 주요 이슈: 자산운용업(2011.1), 자본시장연구원 주최 세미나 
- Private Equity 산업 발전방안: 사모펀드 규제체계 개선방안을 중심으로(2010.11), 금융위원회 주최 금융정책 릴레이토론회 
- 금융투자업의 안정적 인적자본 구축: 애널리스트 공시제도 개선을 중심으로(2010.3), 한국금융투자협회 주최 세미나 
- 2010년 자본시장 전망과 주요 이슈: 자산운용업(2010.1), 자본시장연구원 주최 세미나 
- 우리나라 펀드시장 도약을 위한 과제(2008.10), 한국증권연구원/한국재무학회 공동 정책세미나 주제 발표 
- 한국 자산운용시장 도약을 위한 과제(2007.10), 금융산업발전협의회 주제 발표 
- Corporate Pension Plans and Capital Markets in Korea(2006.11), Population Aging and Capital Markets in Developing Countries, 한국증권연구원/World Bank 국제 컨퍼런스 주제 발표 
- 퇴직연금 도입에 따른 영향 및 금융기관에 주는 시사점(2006.4), 21세기 금융비전포럼(CEO포럼) 세미나,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금융공학연구센터 
- 인구고령화와 우리나라의 자본시장 : 가계의 주식보유와 3층 사회보장제도를 중심으로(2005.5), 한국금융학회 금융정책 심포지엄 : 고령화의 진전과 금융산업의 대응, 한국금융학회 주제 발표
- 우리나라 자본시장과 은행의 균형적 발전 필요성(2004.6), 한국경제의 재도약을 위한 새로운 금융패러다임, 한국증권연구원 국제 심포지엄 주제 발표 자료 
- 경제위기의 원인과 대응 방안 - 금융부문, 1998년 5월, 한국경제연구원/매일경제신문사 공동 주최 세미나 주제 발표 



(6) 기타 보고서
- 최근 시중자금흐름의 동향과 주요 이슈, 금융리포트 76호, 2003.8, 삼성금융연구소 
- 미국경제의 현황과 주요 이슈, 금융리포트 69호, 2003.6, 삼성금융연구소 
- 국내경제의 유동성함정 진입 가능성 진단, 금융리포트 59호, 2003.4, 삼성금융연구소 
- 최근 시중자금흐름의 특징 및 시사점, 금융리포트 53호, 2003.3, 삼성금융연구소 
- 자금흐름 개선을 위한 최근 금융정책의 영향 및 시사점, 금융리포트 44호, 2002.12, 삼성금융연구소 
- 최근 국제 금융시장 평가와 전망, VIP 리포트, 1999, 현대경제연구원 
- 국내 자금조달시장의 99년 전망, VIP 리포트, 1998, 현대경제연구원 
- 신용경색의 예상 파급효과와 대응방안, VIP 리포트, 1998, 현대경제연구원 
- 적정환율 추정과 환율변동에 따른 산업별 영향, VIP 리포트, 1996, 현대경제연구원 
- 삼성금융연구소, 「주간 금융동향 리포트」에 통화자금 부문 매주 기고 
- 포스코경영연구소, 「분기별 철강수급전망」에 다수 기고 
- 현대경제연구원, 「기업경제」에 다수 기고 
- 현대경제연구원, 「VIP Report」(English)에 다수 기고 
-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예측